모든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. 이진 언어이자 음성 문자이며, 각 문장은 단 하나의 의미만 가진다. 문법적 예외가 없는 가장 단순하고, 효율적이며, 쉽고 논리적인 언어이다. 알파벳{ 0과 1. a:0000. b:1000. c:0100. d:1100. e:0010. f:1010. g:0110. h:1110. i:0001. j:1001. k:0101. l:1101. m:0011. n:1011. o:0111. p:1111. }알파벳 이 인공 언어는 NL이라고 불린다. 원래 NL에는 띄어쓰기가 없다. 'amba na'='나는 사람이다'{ 설명: 'amba'='사람'. 'na'='나'. 문장 'A B'의 의미는 'A는 B이다'. NL에는 be 동사가 없다. 발음은 '맨 추' } 'gjdg cd na'='나는 너를 안다'{ 설명: 'gjdg'='안다'. 'cd'='너' 'na'='나'. NL은 VOS 어순이다. 'gkdg'은 하나의 매개변수를 가진다. 그것은 '무엇을 아는지'이다. 그 매개변수는 'cd'이다. } 'kjgc cd bkba'='나는 너에게 무기를 준다'{ 설명: 'kjgc'='주다'. 'cd'='너'. 'bkba'='무기' 주어가 생략되면 '나'이다. 'kjgc'은 두 매개변수를 가진다: 누가 받았는지와 무엇이 주어졌는지. } 'na kjgc cd bkba'='나는 너에게 무기를 준다'{ 설명: 어떤 경우에는 VOS 어순이 SVO가 될 수 있다. 왜냐하면 V와 O는 항상 함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. } 'fb ad cd'='나는 너에게 묻는다'{ 설명: 'fb'='묻는 사람' 'ad'='매개변수 생략'. 두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다. 첫 번째는 질문이고, 두 번째는 질문이 향하는 대상이다. 이 경우 질문이 생략되었다. } 'ef gjdg mmmb cd'='나는 너를 알고 사랑한다'{ 설명: 'ef'='두 동사를 하나의 동사로 결합한다'. 'gjdg'='안다'. 'mmmb'='사랑하다'. 주어가 생략되었으므로 주체는 '나'이다. } 'me_jomb_jd_amba'='사람들은 살아있기를 원한다'{ 설명: 'me'='희망'. 'jomb'='살아있다'. 'jd'='자신'. 'amba'='사람들'. 'me'의 매개변수는 문장이다. 'jomb jd'는 '자신이 살아있다'를 의미한다. NL에서 자신은 행동의 주체이다. } 'fb ea gjdg cd'='너는 무엇을 아느냐?'{ 'ea'='what'. 'ea gjdg cd'는 '너가 아는 것이 무엇인가'. } 'fb mc cd'='너의 이름이 무엇이냐'{ 'mc'='~의 이름'. } 'fa_kjgb_ekfe'='그것을 죽여라'{ 설명: 'fa'='명령하는 사람'. 'kjgb'='죽이다'. 'ekfe'='그것'. }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영어 버전을 참고하라: https://glki.netlify.app/nl.txt 다른 언어: https://glki.netlify.app/nl_other_language.txt